쇼피 정책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이다. 쇼피 계정을 받았더라도 자주 바뀌는 정책이 너무 많다. 이에 관련 각 국가별 몇가지 중요한 정책들을 알아보고 대처하도록 하자.
1. 싱가포르 이것 팔려면 반드시 라이선스를..
① 싱가포르 HAS(Health Science Authority, 싱가포르 보건과학청) 라이선스

위 그림처럼 건강, 화장품, 의료 등을 취급하려면 싱가포르 보건과학청(HSA)가 요구하는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판매가 가능하다. 상품등록 시 해당되는 카테고리에는 반드시 라이선스 번호를 입력하게끔 되어 있다. 라이선스가 있어야만 판매가 가능하는것이 다소 불편할 수 있다. 특히, 리셀러로 활동하는 셀러시라면 더욱 그럴 수 있다. 반대로 생각해 보면 울타리가 있기 때문에 많은 경쟁자(나도 팔고 너도 파는?)를 한 방에 제거할 수 있다. 안전한 영역에서 덜 경쟁이 있는 곳이라 판매가 용이하다. 특히, 이 라이선스를 취득하는 것은 물론 돈이 든다. 특히 관련 카테고리로 제조, OEM, ODM을 생산하는 제조사라면 도전해 볼 만 하다. 일반 리셀러도 가능하지만 나의 브랜드가 아니기에 궂이 돈들여 가면서 할 필요성을 매우 낮다. 그렇다면 어떤 비용이 들어가며, 본인이 혼자 서류를 준비해야 할까? 예전에 알아서 했고 누가 알려주는 사람은 없었다. 하지만 쇼피측에서 대행사를 데리고 와서 해주는 업체가 생겼다.
② 소프트랜딩 이라는 대행사에 맡겨보자
대행사 명 | 담당자 | 이메일 |
Softlanding | Helen Lee | contact@softlanding.co.kr |
기존 절차 | 변경 절차 | ||
판매자 | HAS 등록 요율표 확인 | 판매자 | 수행사의 대행사 통해 IOR 및 HSA 등록진행 |
HAS 인증 대행 신청서 작서 | 대행사 | 수행회사(GSQUAD) 통해 등록 대행 | |
신청서 제출 카카오톡 발송 | |||
수행회사 | 추가 제출 서류 작성 요청 | ||
판매자 | 자료 추가 제출 | ||
수행회사 | 등록 가능 여부 및 견적서 발송 | ||
판매자 | 비용 송금 | ||
수행회사 | HAS 문서 전달 | ||
판매자 | 인증 완료 상품 복원 신청 | 판매자 | 인증 완료 상품 복원 신청 |
③ 예시 : 싱가포르 보건과학청 화장품 등록 서비스
서비스 종류 | 비 용 | |
1 | HSA(Health Sciences Authority) 싱가포르 보건과학청 화장품 등록 신청 대행 비용 | 신청 건 당 SGD 100 (신청 한 건당 최대 8개 제품* 등록 가능) 리뉴얼은 신청 건 당 SGD 80 |
2 | HSA 신청 시, 수납 비용 | 다음 페이지 표 참고 |
3 | 신청 시 발생하는 기타 비용(거의 발생하지 않음) | HSA 발급을 위해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경우, 백투백으로 청구 |
* 복수의 하위제품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위 제품군을 제품 1개로 취급
③-1 HSA 제품 등록 시, 수납 비용
등록 제품 구분 | 연간 비용(SGD) |
단일 – 고위험 제품(눈, 입술 주변에 사용되는 제품, 페닐렌디아민 성분의 염색약, 구강 제품) | $27 / SKU |
복수의 하위 제품을 가진 고위험 제품군: 1번째~3번째 하위 제품까지 | $27 / SKU |
복수의 하위 제품을 가진 고위험 제품군: 네번째 하위 제품 이후 | $7 / SKU |
단일 – 저위험 제품 (고위험 제품 이외의 제품) | $12 / SKU |
복수의 하위 제품을 가진 저위험 제품군: 1번째~3번째 하위 제품까지 | $12 / SKU |
복수의 하위 제품을 가진 저위험 제품군: 네번째 하위 제품 이후 | $7 / SKU |
* HSA가 비용을 올릴 경우, 상승된 비용을 청구
③-2 프로세스 별 소요시간
종 류 | 세 부 | 소요 기간 |
ASEAN 화장품 규정 | 전달된 전체성분 목록을 바탕으로 ASEAN 화장품 규정에 위반이 없는지 확인 | 2~3일 |
영문 라벨링 확인 | 제품 패키지의 영문 라벨이 HAS 규정을 만족하는지 확인 | 2일 |
HSA 신청 및 결과 수령 | HSA 포탈에 접속하여 제품 등록 후 결과지 수령 | 2일~3일 |
총 소요 시간 영업일 기준 6~8일 정도 소요
④ 소프트랜딩 회사 홈페이지 : 해외 판매 인허가 발급 대행사

자세한 사항은 소프트랜딩 홈페이지를 참고하길 바란다.
2. SpayLater : 할부기능

SpayLater 할부기능. 다른 나라 국가의 국민들은 신용이 저조하여 대부분 카드발행이 어렵다. 이에 할부해 주는 기능인데 판매자는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지만 다만 수수료가 나간다라는게 흠인긴 하다. 주로 카드가 있는 상위층 고객의 경우는 그냥 카드로 구매하지만 카드가 없는 소비자도 많기 때문에 이런 기능이 추가가 되었다.

위 그림처럼 실제 주문고객이 최종 결제단계에서 선택하여 결제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는 대부분 카드가 있으니 이런 기능은 조금은 생소하긴 하지만 어쩌겠는가 그들의 문화가 현찰 박치기인걸,,,
3. 무게중량, 부피중량

쇼피(Shopee)에서 바뀐 것 중에 하나가 “무게”, “부피”에 따라 다르게 배송비가 나간다. 판매자라면 신경써서 봐야 할 문제다. 코로나 시국 때 바뀌었다. 그 때는 항공 스케줄을 잡기가 어렵다보니 무게중량과 부피중량 중 배송비용이 더 나가는 유리한 요금을 적용하기 시작이 바로 이 시기에 바뀌었다. 아무래도 운항 스케줄을 잡기가 여간 어렵다 보니 고객에게 가는 배송이 다소 늦거나 또는 연기되기도 하여 주문을 받고도 7일째 자동주문취소나 고객의 마음이 변경되어 이 제도가 들어서게 된 것. 그 전에 무게로 요금을 지불할 때가 좋았던 때가 있었다. 앞으로는 두개 중에 유리한 요금으로 적용된다라는 점 잊지 말자!
① 각 국가별 화물 발송 규격

각 규격 이내로 맞춰야 함을 잊지 말 것. 특히, 신경써야 할 국가는 대만이다. 배송 시 집으로 배송 받는 것을(혹은 누가 찾아오거나 하는) 좋아하지 않으며 배송 기사는 고객에게 직접 사인(Sign)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주로 쎄븐-일레븐 편의점에서 픽업(Pick-Up) 하는 것을 선호한다. 거의 편의점 픽업이 90% 육박하도록 하니 말이다. 이런 질문도 생각할 수 있겠다.
혹시 안 찾아가는 고객의 택배 박스가 있다면 어떻게 하나요?
찾아가도록 채팅을 이용해서 알려주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안 찾아가는 경우도 발생하는데 복불복인 것 같다.
긴 시간동안 편의점에서 보관해 주지 않으며 다시 한국으로 되돌아 갈 수 있는 경우를 종종 경험했다.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그랴!
이런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그래도 손해가 날 수도 있으니 판매가 계산 시 반영해야 한다.
다시 반품을 받고자 한다면 배 보다 배꼽이 큰 배송비가 문제가 된다.
되도록이면 찾아가도록 종용하고 어쩔 수 없이 손실(?)로 처리해야 한다.
4. 판매 금지 글로벌 브랜드

위 그림처럼 글로벌 브랜드는 등록하지 못한다. 특히, 리셀러 판매자.
나이키, 아디다스, 푸마 등 세계적인 브랜드사가 판매하지 못하도록 했으며 차후 등록 시 쇼피에서 “정품 수권서 또는 인보이스”를 요구한다. 관련 자료를 제출해야만 판매가 가능하다.
구매한 영수증 있는데 이것도 가능할까요?
안됩니다. 거래명세서는 가능합니다. 거래명세서에 영문도 같이 표기 되어야 쇼피에서 확인되요.
올리브 영에서 구매해서 판매해도 되나요?
리셀러의 경우, 판매 가능합니다만 너무 많이 사면 본사에서도 모니터링을 하고 있어요.
그래서 구매거부가 될 수 있습니다. 여러 ID를 돌려서 적정하게 구매하여 재판매 하세요.
5. 매출 금액에 따른 수수료 차등 적용
판매자가 많이 판매할수록 쇼피에서 수수료를 차증적으로 적용해 준다. 꿈의 숫자가 아니다. 할 수 있다.

6. 쇼피에서 판매자에게 지원하는 배송비 Rebate
별일이다. 쇼피에서 배송비를 지원도 해준다. 눈꼽만큼이지만,,그래도 받는 것이 좋은 거다. 대부분 한국 셀러는 다 받을 수 있으며 실제 내 통장에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정산 부분에서 돌려준다. 수치로만 확인될 뿐.. 어디 다른 플랫폼에서 이렇게 주는 eCommerce Platform은 눈 씻고 찾아봐도 없다.


오늘은 여기 까지,, 다음에